자본시장에 대하여
1. 자본시장의 의의
자본시장(Capital Market)이란 기업,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이 장기투자 자금을 조달하는 시장으로서, 넓은 의미에서는 은행의 기업에 대한 시설자금 `대출 등 장기대출 시장을 포함하기도 하나 좁은 의미로는 국채, 회사채, 주식 등이 발행되고 유통되는 시장이다.
자본시장은 국민경제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개인과 기관의 투자자금은 투자자에게 자금을 불리기 위한 단순 Seed Money에 지나지 않겠지만, 이렇게 투자자들로부터 모아진 자금은 국가 경제성장을 위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지난 수 세기 동안 금융시장은 은행을 중심으로 자금을 빌리고 빌려 쓰는 간접금융시장이 주도해 왔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꽃'이라고 불리는 증권시장이 발전하면서 금융시장의 무게중심은 증권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직접금융시장으로 옮겨지고 있다.
자본시장의 가장 중요한 역할과 기능은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다. 기업이나 가계 등 여유자금을 투자수익이 높은 기업에 장기 투자재원으로 공급함으로써 국민경제의 자금 부족부문과 자금 잉여부문의 수급을 원활하게 조절하는 데 있다. 아울러 자본시장은 회사채 수익률과 주가 등 금융자산의 가격을 결정함으로써 개별 기업의 투자와 내부 경영에 영향을 끼친다.
2. 자본시장의 구조( The Structure of Capital Market)
우리가 알고있는 자본시장은 일반적으로 크게 발행시장(Primary Market)과 유통시장(Secondary Market)으로 나누어진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 발행시장(Primary Market)
발행시장은 주식, 채권 등의 증권이 최초로 발행되어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시장을 뜻한다. 발행시장의 주체는 자산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기업과 국가, 금융기관, 지방 정부 등 다양한 주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비상장기업이 상장 IPO 되어 최초로 증권시장에 주식을 발행하는 공모주식이라 하는데. 이러한 시장이 가장 친숙한 발행시장의 사례이다.
또한 상장기업이 유상증자하여 추가로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도 이에 속한다. 따라서 발행시장은 새로 발행한 증권, 채권 투자자의 자금이 거래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는 추상적 시장이다. 발행자는 증권과 채권의 발행을 통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증권을 매입함으로써 증권에 투자한다.발행시장은 자금수요자로서의 발행인과 자금공급자 그리고 주식 발행 사무를 대행하고 위험을 부담하는 인수자로 구성된다. 발행인은 기업, 금융회사 등이 포함되고 투자자는 일반투자자와 전문투자자로 구분되며 인수자는 투자매매업자가 된다.
발행시장에서 증권을 발행하는 형태는 발행에 관하여 사무절차를 누가 맡느냐에 따라 직접 발행과 간접발행으로 나눈다. 직접발행은 발행 주체가 직접 발행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지만 증권 발행에는 전문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문 중개 기관을 활용하는 간접발 행의 방법을 더 많이 이용한다. 발행 중개기관은 업무절차의 복잡성에 대한 이해와 숙련도가 높을 그럴 뿐만 아니라 정보 수집 능력, 시장조성 능력, 그리고 위험부담 능력 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유통시장(Secondary Market)
유통시장은 발행시장에서 발행된 증권을 투자자끼리 일정한 조건에 따라 거래하는 시장을 유통시장이라 한다. 증권자산이 발행자에게서 투자자에게 이전되는 시장을 발행시장이라 하고, 거래소에서 투자자끼리 거래되고 매매되는 시장이 유통시장이다. 다시 얘기 하자면, 유통시장은 이미 발행된 증권이 투자자 상호 간에 거래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일정한 장소와 시설을 갖춘 구체적이고 조직적이며 계속성이 유지되는 시장을 의미한다.
발행시장은 자금을 조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비해 유통시장은 투자금의 환금성을 유지하며 자본시장을 유지하고 활성화한다. 투자자의 투자 기간에 상관없이 증권을 통하여 조성된 자금을 일반기업에서 장기투자에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이러한 유통시장 때문이다. 이러한 유통시장은 채권 유통시장과 증권 유통시장으로 구분된다. 채권 유통시장은 이미 발행된 채권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매매가 되는 시장이라면, 증권 유통시장은 증권거래소에서 주문을 통해 주식을 거래하는 시장이다.
이러한 유통시장은 일반적으로 증권의 유형과 관계없이 구체적이고 조직화된 거래소 시장 (Exchange Market)과 조직화 되지 않은 장외시장(Over-counter Market)으로 구분된다. 거래소 시장은 일전한 거래 규칙과 집중된 주문에 의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이며 조직화된 시장이며, 여기에는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시장, 코넥스 시장이 있다. 이에 대해 장외시장은 고객과 증권회사, 증권회사 상호간 또는 고객 상호간 개별 접촉에 따라 거래가 이루어지는 비조직적, 추상적 시장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K-OTC 시장이 있다.
3.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의 관계(The Relation of Primary Market and Secondary Market)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의 관계는 동전의 앞면과 뒷면의 관계와 같다. 유통시장에서의 거래 대상이라 할 수 있는 증권을 발행시장에서 공급하기 때문에 발행시장에서의 증권발행이 그 규모, 조건, 시기 등은 유통시장의 시황에 많은 영향력을 가지게 된다. 유통시장에서 거래가 활발하게 될수 있어야 그 시장성과 환금성이 보장되어 발행시장에서도 투자자가 활발하게 참여할 수가 있다. 유통시장의 상황에 따라 발행조건이 결정되고, 그 발행조건에 따라 발행 주체는 자금을 조달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은 상호 의존적이며 보완적 관계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4. 자본시장의 역할 ( The Role of Capital Market)
자본시장은 자금조달과 운용, 소유분산, 시장의 효율성 그리고 경제정의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자금 조달 측면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자금이 요구된다. 성장하는 기업이 새로운 투자를 할 때 기업의 유보자금만으로는 부족하므로 자본시장은 이들 부족한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 자금 운용 측면
자본시장은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금융자산의 운용을 위한 투자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민소득이 높아질수록 금융자산에 투자수요가 늘어나 투자에 대한 욕구도 다양하다. 금융시장의 상품은 유동성과 안전성이 뛰어나다. 여기에는 안전한 은행 예금부터 수익성과 위험성이 높은 증권, 그리고 여러 가지의 파생 금융상품이 있어 투자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고 있다.
■ 소유분산의 측면
자본시장은 증권발행으로 소유권을 불특정 다수에게 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 기업에 대한 투자위험을 다른 여러 주주와 나누어 갖게 해 위험을 분산할 수가 있고 동시에 기업가는 여러 기업에 분산투자 할 수도 있다.
■ 시장의 효율성 측면
자본시장은 자금의 효율적 수요와 공급을 도와 줄뿐 아니라 자본시장 내에서도 수익성이 높은 상품으로 모이게 하여 시장경쟁에 의한 금융자원의 배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 경제정의 측면
증권시장은 기업경영을 통해 얻은 이익을 분배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주주는 자본투자에 참여함으로써 기업 성장시 자본소득에 대한 이익을 가질 수가 있고 기업이 독점기업이라 할지라도 소유와 분산이 잘 되어 있다면 그 기업의 성과는 많은 주주들과 나누어 가질 수가 있다. 투자자에게는 적은 자본으로 기업경영에 참여하고 자본이익을 분배받을 수 있으므로 경제 민주주의에도 이바지한다고 할 수가 있다.
5. 결론( Conclusion)
자본시장은 기업, 정부. 지방자치단체가 장기 자금을 조달하는 시장으로, 여기에는 은행의 기업에 대한 장기투자 자본을 포함하나, 일반적으로는 국채, 회사채, 증권 등이 발행되고 유통되는 시장이다. 오늘날 금융시장은 무게중심은 '자본주의 꽃'이라 불리는 증권시장을 중심으로 한 직접 금융시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본시장의 구조는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으로 나누어 주며, 이들 시장은 상호 의존적이며 보완적 관계에 있다. 자본시장의 주요한 역할은 기업의 자본조달을 용이하게 하고, 투자자의 다양한 투자 욕구에 부응하며, 기업의 소유를 분산함으로써 위험 분산이 가능케 하고, 금융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기업의 성과를 투자자와 나누어 가질 수 있게 함으로써 경제정의에 크게 이바지한다고 하겠다.
'경제증권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주 투자 전략 (0) | 2025.04.17 |
---|---|
환율 변동성과 경제 성장 (2) | 2025.04.15 |
금융시장이란? (0) | 2025.04.11 |
꿀팁, 미국관세 그리고 요동치는 세계 증시 (0) | 2025.04.10 |
미국의 관세정책 (1)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