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증권금융

증권시장의 메커니즘

by Danddy 2025. 3. 28.

증권시장의 메커니즘(Mechanism)

 

개요


 

시장의 참여자들이 다양한 매매 스타일을 구사하는 증권시장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무엇보다도 증권 매매라는 것도 하나의 교환 행위이다. 일반적으로 가치가 있는 문서나 권리가 표시된 증서를 증권이라 하며, 이 증권을 매매 대상으로 주고받는 것이 증권 매매라 하겠다. 그래서 통상적으로 공급자(판매자)와 수요자(구매자)가 있고, 그것을 중개해 주는 시장 격이라 할 거래소가 있는 셈이다.

 

자본시장은 전통적 금융자산이라할 증권과 채권을 비롯해 통화와 파생상품이 거래되면서 자금이 융통되는 시장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 단기 자금을 위주로 융통해 주는 시장을 자금시장이라 한다. 화폐의 융통기간에 따라 장기이면 자본시장 단기이면 자금시장이라고 한다.이러한 자본시장은 증권이 최초로 발행되는 발행시장과 주식과 채권이 투자자 간에 거래되는 유통시장으로 나뉜다.

 

증권시장 메커니즘(Mechanism)


 

모두가 알다 싶이, 증권시장이 돌아가는 메커니즘(Mechanism)은 증시의 발행시장에서 (Primary Market)의  주체는 투자 자산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여기에는 기업과 국가를 비롯해 금융기관 등 다양한 주체가 존재한다. 기존의 비상장기업이 IPO(Initial Public offering)를 거쳐 최초로 공개시장에서 주식을 발행하는 것이 대표적 발행시장(Primary Market)이며, 또한 상장기업이 유상증자로 추가로 자금을 조달하는 예도 발행시장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유통시장(Secondary Market)은 발행시장(Primary Market)에서 발행된 증권을 투자자들끼리 거래하는 시장이다. 다시 얘기하자면, 투자자들간에 자산이 거래되는 시장이 유통시장(Secondary Market)이다. 바로 투자자들은 유통시장에 거래되는 자산에 투자하는 시장참여자가 되는 셈이다.

 

이러한 유통시장에서는 증권을 이미 가지고 그것을 팔려 하는 매도자와 팔려고 하는 증권을 사려고 하는 매수자로 구분되고 서로가 제시하는 호가에 따라 이를 중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Computer System)이 존재한다. 이러한 매수자와 매도자를 통틀어 우리는 매매의 수급 주체라 하고, 이들 수급을 결정하는 매매 주체가 증시의 등락을 결정한다.

 

 

수급의 주체 (Key Member of Supply and Demand)


 

그러면, 증권시장을 움직이는 매매의 주체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가 알고 있는 증권시장의 매매 주체는 통상 4개의 세력으로 나뉜다.

 

첫째는, 개미투자자로서 수많은 소액투자자로 이루어져 있다. 지수에 끼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이고 중소형 위주로 매매하는 경향이 많고 매매 기간이 길지 않다. 개미투자자 중 거액의 자금을 굴리는 투자자를 슈퍼개미라고도 한다. 개미투자자는 스켈퍼(Scalper), 데이 트레이더( Day trader)가 아주 많고 스윙거래자(Swing trader)도 제법 많다.

 

둘째는, 기관투자자로서 국내에서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는 투자자들이다. 여기에는 증권사를 중심으로 하는 금융투자회사 그리고 자산운용사의 투자금을 운용하는 투자신탁, 연기금, 연금, 은행, 보험, 사모펀드,기타금융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기도 하여 증권시장에 끼치는 영향력이 지대하다. 선물과 현물과의 차익거래를 주로 진행하기도 한다. 자금력은 크나 단기성 자금의 비중이 높다.

 

셋째는, 외국계 증권 창구를 이용하는 외인들이다. 대형주 위주로 자금이 유입되며 지수에 끼치는 영향력이 아주 높다 하겠다. 일반적으로 외국계 수급이 들어오는 경우는 지수 또는 개별종목이 상승할 확률이 높다 하겠다. 이들은 어마어마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때론 이들의 투자 형태에 따라 시장이 출렁거리기도 한다. 유입되는 자금의 출처에 따라 미국계 자금, 유럽계 자금, 아시아계 자금으로 나뉜다.

 

마지막은 프로그램매매(Program Trading)로서, 일정한 전산 프로그램에 따라 수십 종목 개의 종목을 묶어서 거래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 그래 매매는 통상 기관과 외국계 증권사 같은 거대자본이 주로 하는 프로그램에 의한 매매 방식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프로그램매매(Program Trading)는 선물과 현물의 가격 차이를 이용하는 차익거래(Arbitrage)와 선물과 연계하지 않고 한꺼번에 수십 개 종목을 바스켓으로 묶어 매매하는 비차익거래(Non-arbitrage)가 있다.

 

프로그램매매(Program Trading)는 투자자가 설정해 놓은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으로 자동으로 처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차익거래(Arbitrage)에서는 주식시장의 선물가격이 중요하며, 이론적으로는 선물가격이 현물보다 높게 설정이 된다. 선물가격에는 이론적으로 이자, 보관 비용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선물가격은 KOSPI 200 선물지수이고, 현물은 KOSPI 200 현물지수이다.

 

 

차익 거래 와 비차익거래


 

 차익거래(Non-arbitrage)는 현선물 간의 가격 차이를 이용하는 거래이다. 예를 들어, 증권시장에서 선물가격이 높은 상태이면 고평가된 선물을 팔고, 저평가된 현물을 매수한다. 그러면 시장지수는 상승한다. 이를 매수 차익거래라 하고, 반대로 투자자가 현물을 많이 매수하여 현물 가격이 높고, 선물이 저평가되어 있으면, 고평가된 현물을 팔고 저평가된 선물을 매수한다. 이때는 시장이 하락한다. 이를 매도 차익거래라 한다. 여기서 매수 차익거래와 매도 차익거래의 기준은 현물을 기준으로 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증권시장에서의 선물가격은 현물가격보다 높다. 이러한 상태를 시장에서는 콘탱고(Contango)라 하고, 선물 고평가라 부르기도 한다. 이에 대해 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높거나 결제월이 길수록 높아야 할 선물가격이 낮아지는 현상을 백워데이션(Backwardation)이라 하며. 이를 선물 저평가라 부른다. 그러나 이러한 현 선물 간의 가격 괴리현상도 시간이 지나고 만기일에 도래하면 가격이 서로 수렴하여 근접하게 된다.

 

 

이에 대해, 비차익거래(Non-arbitrage)는 하루하루의 변동하는 선물가격과 연계하지 않고 코스피 200종목 내에서 가격상승이 기대되는 종목을 한꺼번에 바스켓으로 묶어 매매한다. 통상 기관투자자는 코스피 지수의 영향력이 큰 15~20개의 종목을 대량으로 매매함으로써 지수에 끼치는 영향력이 크다 하겠다. 원래는 프로그램매매에서는 현 선물을 이용한 차익거래(Non-arbitrage)가 일반적이었으나 근래 들어서는 비차익거래(Non-arbitrage)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매매 (Program Trading) 는 기관투자자와 외국계 투자자가 주로 사용하는 매매기법의 하나로 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변수임으로 수시로 체크해야 할 주요 Point 중의 하나이다.

 

 

결론 (Conclusion)

 

자본시장은 증권, 채권, 통화 등 금융자산이 거래되면서 자금이 융통되는 시장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이 있다. 특히, 발행시장(Primary Market)에서 발행자들은 자금조달을 위한 수단으로 증권을 발행하고 투자자는 투자수익률이 높은 종목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여기에는 기업과 국가를 비롯하여 다양한 금융기관이 존재한다.

 

이에 대해, 유통시장(Secondary Market)은 투자자끼리 거래되는 시장으로, 이 시장의 작동 원리(Mechanism)는 거래소를 중심으로 공급자가 제시하는 가격(매도호가)에 수요자가 요구하는 가격(매수호가)이 만나는 곳에서 균형가격이 결정된다. 이들 공급자와 수요자를 매수 주체라 하고 여기에는 개미투자자, 외국계 투자. 기관투자자가 있고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매매 (Program Trading) 가 있다.

 

오늘날 증권시장의 방향성과 변동성은 주로 이들 수급 주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들의 작동 메커니즘(Working Mechanism)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도 성공 투자로 갈 수 있는 첩경이 아닌가 한다.

https://link.coupang.com/a/clV2zC

 

뉴트리디데이 프리미엄 밀크씨슬 골드, 90정, 2개 - 밀크시슬 | 쿠팡

현재 별점 4.8점, 리뷰 31859개를 가진 뉴트리디데이 프리미엄 밀크씨슬 골드, 90정, 2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밀크시슬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경제증권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관세정책  (1) 2025.03.29
증권투자 매매스타일  (2) 2025.03.28
꿀팁, 효율적 증권 투자(둘)  (2) 2025.03.27
증권투자 꿀팁(하나)  (0) 2025.03.25
국제 무역과 금융 시장의 상호 작용  (8) 2025.03.23